이벤트버스는 vuex사용하지 않은 상태로
부모자식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였는데,
사용하다보니 vuex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일거라는 생각이 들었다.
main.js
Vue.prototype.$EventBus = new Vue()
a.vue (이벤트버스 발송하는 곳)
export default {
...
methods: {
sendEventbus: function() {
this.$EventBus.$emit("result", "오오")
}
}
...
}
<button @click="sendEventbus">오오 보내기</button>
이런식으로 연결해놓는다.
b.vue (이벤트버스 받는 곳)
export default {
...
created() {
this.$EventBus.$on("result", function(data){
console.log(data)
})
}
...
)
이벤트버스는 created에서 받아야한다. 마치 운영체제에서 시그널 받길 기다리는 친구들처럼(?) 이벤트 버스를 받길 기다리면 된다.
그리고 result라는 이벤트버스가 emit될때마다 on으로 받아준다.
'Study > Vu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ue.js] ubuntu에 nginx 설치하고 vue.js 설치하기 (1) | 2019.02.01 |
---|---|
[Vue.js] url 뒤에 붙는 #(hashtag) 없애기 (0) | 2019.01.13 |
[Vue.js] 페이징 로직 (0) | 2018.10.22 |
[Vue.js] promise 사용하기 (0) | 2018.09.20 |
[Vue.js] class를 만들어 vue객체 사용하기 (0) | 2018.09.20 |
[Vue.js] mixin 전역 등록하기 (0) | 2018.09.20 |
[vue] img src data binding (0) | 2018.09.07 |
vue.js radio button 토글 이벤트 걸기 (0) | 2018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