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재 웹상에서는 방대한 정보와 필요한 정보를 추출, 해석, 가공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보가 검색된다.
시맨틱 마크업은 2001년 팀 버너스리 등에 의해 정립화된 것으로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검색로봇이 의미를 잘 가져갈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구조적으로 마크업 하는 방법이다.
HTML태그를 이용해 내용이 담고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하며 마크업해야 시맨틱한 웹을 만들 수 있다.
RSS가 대표적인 예이다.
* 온톨로지 형태 : 사람들이 세상에 대해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서로 간의 토론을 통해 합의를 이룬 것
ex))
<h1>테스트 1</h1>
<p>테스트 1-1</p>
<p>테스트 1-2</p>
<p>테스트 1-3</p>
위의 마크업은 시맨틱하지 못한 마크업이다.
시각장애인을 위한 스크린리더에서 제목과 내용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.
<h1>테스트1</h1>
<ul>
<li>테스트1-1</li>
<li>테스트1-2</li>
<li>테스트1-3</li>
</ul>
위의 마크업이 시맨틱 한 마크업이다.
스크린리더에서의 의미파악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효과도 준다.
'Study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mage Replacement(IR기법) (0) | 2013.03.26 |
---|---|
href=# 대안법 (0) | 2013.03.12 |
웹 표준과 웹 접근성 (0) | 2013.02.26 |
시맨틱한 마크업을 위한 HTML5요소 (0) | 2013.02.26 |
[HTML5] 새로운 요소 (0) | 2013.02.24 |